<취재파일>“전시행정 일변도” 벗어나야
작성일: 2005-04-18
위천천(대평보 세굴방지 및 호안) 수해복구 공사와 관련 군의 당초 공사 설계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키며 예산 낭비의 대표적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
해당공사는 지난해 대풍 “매기”이후 빠른 복구를 한다는 원칙아래 관내의 모 건설사에게 수의계약으로 공사를 맡겨 총 사업비 4억4천여만원을 들여 전석쌓기(2521㎡), 전석깔기(3389㎡), 옹벽(192m)에 대한 공사를 지난해 1월 공사에 들어가 같은해 7월 공사 마무리까지 약 6개월여에 걸쳐 공사를 마무리 했으나 공사 마무리 직후 집중호우로 인해 재차 제방이 유실되는 등 관계기관의 눈 가림식 땜질 처방과 탁상행정이 불러온 인재(人災)로 이어진 주된 계기가 됐다.
이렇듯 막대한 예산을 투입 공사를 마무리 했으나 공사 마무리와 함께 전석쌓기 공사 일부구간이 속수무책으로 무너져 내려 엄청난 양의 폐석들이 강 곳곳에 나뒹굴어 건계정 일대의 관광지 미관을 크게 훼손시키고 있고 이곳을 지나는 주민들의 눈쌀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또한 건계정 일대는 수승대와 더불어 수려한 산수와 맑은 물을 배경으로 거창의 대표적 관광지로 각광받고 있고 강변 언덕을 따라 산채로가 자리해 있어 최근 웰빙시대를 맞아 각자 자신의 건강 관리를 위해 건계정 산책로를 이용하는 주민들이 부쩍 늘어나 남녀노소 할 것없이 이곳을 찾는 경우가 많아졌다.
하지만 즐거워야 할 산책길이 건계정 입구 해당공사 부근을 지날때면 유쾌한 마음이 싹 사라져 버리기 일쑤다.
매일 이곳을 찾는다는 주부 박모씨는 “공사한지가 엊그제인데 또다시 같은 공사를 하는 걸 보면 거창군에는 예산이 남아도는 모양이지…”라고 말 끝을 흐린 후 제발 강 곳곳에 나뒹굴고 있는 폐석들을 하루 빨리 정리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와함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수억원의 예산이 추가로 투입된 가운데 2차 공사가 진행 중에 있는 위천천 수해복구공사는 군 건설과 관계자의 주먹구구식 행정으로 이중 예산 투입이라는 혈세낭비의 결과를 초래하며 대다수 군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지만 정작 해당 관계자는 이에 조금도 개의치 않는다는 태도로 일관 해당공사 문제점에 대한 책임 소재를 회피하려는 듯한 인상마저 들게한다.
지금이라도 국민의 공복으로서의 주어진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해 주길 전 군민은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