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당공천-공개경선으로 해야 한다
작성일: 2009-08-03
내년 제5회 전국지방 총선거가 11개월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한나라당 공천구도가 벌써부터 과열양상이 빚어지면서 수면위로 급부상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속에 군민들의 의견은 공개경선에 무게가 쏠리고 있다.
당헌 당규에 명시된 대로 여론조사를 포함한 경선을 하는 것이 원칙이고 낙하산 공천, 전략공천은 더이상 이루어져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잦은 한나라당 군수의 사퇴로 그동안 보궐선거로 민심이 이반되고 지역발전을 가로 막는 큰 병폐를 낳았다는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군민과 당원이 참여하는 경선으로 예비후보들이 여론조사에 합의할 경우 여론조사를 해야 하겠지만 현직과 신인이 공천경쟁을 할 경우 현직이 여론조사에서 유리한 만큼 신인이 불리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도 필요하다.
지방의원의 경우도 지역위원회의 여론을 청취하고 의정활동 평가를 통해 1차로 20~30%를 탈락시키는 방안도 연구하는 동시에 비례대표 군 의원의 경우도 시민단체대표, 언론인, 외부인사가 참여하는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해 공정한 공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시민단체에서도 시장, 군수, 군의원 공천제 폐지를 꾸준히 제기해 왔다.
국회의원의 지명식 공천의 폐해가 그동안 상존해 왔고 지역민들의 의견수렴이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소통의 부재속에 정치무관심만 증가시켜 왔었다. 이러한 현실들이 감지되고 있는 가운데 경선을 통한 공천이 이루저질 경우 군민들의 지지는 받겠지만 국회의원의 지방 정치 장악력 약화를 초래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왔다.
하지만 작금의 거창 정치인들은 중앙 정치에 줄대기 바쁘고 지역현안사업 및 주민들의 숙원사업들은 뒷전이다. 그나마 위안인 것은 승강기대학설립 인가가 의결되어 9월부터 수시모집에 들어가고 승강기밸리사업이 탄력을 받아 기업유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 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어 희망적이다.
공개경선이 군민들의 여론이 형성되자 한나라당 공천 예비주자들의 손·익계산이 빠르게 돌아가고 있는 현실이다.
2010년도 새해가 밝아오면 제5회 지방선거에 대한 밑그림이 오픈 될 것이다.
한나라당의 내년 전당대회를 기점으로 친박신당창당이 될지도 관심사고 경남지역에서 친박바람이 거세게 불지 아니면 미풍에 그칠지도 관심사다.
오늘의 거창정가는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한나라당 공천경쟁이 치열해 막상 뚜껑을 열어바야 알 것 같다.
군민들은 차기군수로 지역의 현안을 제되로 파악하고 거창에 살면서 지역민들의 정서를 잘 알고 있으며, 소통에도 능하고 중앙정치에도 인적 네트워크가 강한 인물이 지역경제를 발전 시킬 것 이라고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