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정감사에 풀린 북상초 등교거부사태

작성일: 2009-10-27

전국적으로 이슈가 되며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던 교장공모제 취소를 둘러싸고 학부모와 경남도 교육청의 갈등에서 비롯된 북상초 등교 거부사태가 한달 반만에 해결되었다.
해결의 실마리가 풀린 계기가 된 것은 최근 열린 국정감사에서 권정호 교육감이 국회교육과학위소속, 민주당 안민석의원의 중재안을 수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내용인즉은 북상초교의 교장임기가 끝나는 2011년 8월이후 교장 공모제를 실시하는 방안을 권교육감이 받아 들이고 북상초교를 자율학교로 지정하는 것을 포함 농촌지역 최고 학교로 육성하는 데 권교육감이 북상초교를 방문하여 노력하기로 했다.
안의원은 학부모들도 중재안을 모두 수용했기 때문에 원만한 해결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학교 교육정상화를 위해서 지난달 1일부터 전교생 41명 가운데 17명이 마을 학교에서 수업을 받아오다 20일부터 정상적으로 학교 출석이 이루어졌다. 거창교육청 초등담당 장학사도 교육법에 명시된 출석일수에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방학을 이용 보충안도 마련하고 학교, 학부모, 학생 모두 하나되어 학교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노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 동안 공모교장심사 과정에서 학운위측심사위원들이 특정 후보에게 점수를 몰아줬다는 점등을 이유로 도교육청이 교장공모제를 취소하고 새 교장을 임명하면서 시작됐다. 학운위와 학부모는 교장 공모제 재지정을 요구하며 학생등교 거부을 결의해 지난달 1일부터 마을학교 수업을 받아왔었다.
이제 국감장에서 전국적으로 이슈된 북상초 문제를 여야가 간만에 한 목소리를 내면서 사태를 종결시키고 학부모들로부터 신뢰를 받는 국감활동으로 아낌없는 박수를 받았다. 지역민들도 오랜 염원이었던 학교발전 방향과 변화의 틀을 마련하고 농촌초등학교의 미래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북상초 서원학운위 위원장의 빠른 결단으로 20일부터 마을학교에서 수업받던 학생들을 정상등교 조치하고 화합의 장을 이루어 냈다.
갈수록 농촌의 인구가 감소하고 초등학교들이 분교로 전락하는 현실에서 학운위와 지역민들이 하나되어 발전모델을 제시하고 학교와 학생들의 미래를 만들어 농촌형 초등학교의 생존모델이 되었다는데 큰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다시는 이와같은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제도적 보안장치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