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무공천 공약이행 안되면 역풍 부를 수 있다.

작성일: 2013-12-26

지방선거가 6개월 정도 앞으로 다가오고 있다.
지금 자치 단체장이나 지방의원 출마 예상자들은 유권자, 공천권을 틀어쥐고 정당 관계자들의 둘 다 눈치를 보고 있다.

현 정치 체제하에서 정당공천이 당선의 지름길로 인식하는 출마 예정자들이 다수인 현실이다. 하지만 기초 단체장과 기초 의원은 평소에 지역의 현안을 누구보다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런 이들이 지역민에 의해서 선출돼야 한다. 지역을 위해 일하는 지역 일꾼을 선출하는 지방선거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정당선거였다. 당선된 사람들은 유권자들의 눈치 보단 정당에 충성하면서 눈치 보기 급급하고 정당 공천제가 결국 지방이 중앙정치에 예속되고 말았다.

우리나라와 같은 정치 상황에서는 공천만 받으면 사람은 보지 않고 특정 정당에 묻지마 식으로 표를 몰아주기 때문에 반드시 정치 개혁은 필요하다. 지난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 후보자의 정당공천 폐지를 담은 정치 쇄신안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그런데 지방선거가 6개월 앞으로 다가온 지금까지 정치권에서 정당 공천제 폐지를 두고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7월 전 당원투표를 통해 기초 단체장과 시, 군, 구의원등 기초의원에 대한 정당공천을 폐지하는 당론을 확정한바 있다. 하지만 아직 새누리당은 아직 당론을 정하지 않고 지자체 파산제니, 기초단체장은 공천하고 기초의원만 무공천 한다는 식으로 안들만 흘리며 눈치만 보고 있다. 여당으로서 꼼수 정치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지역 국회의원들이 쉽게 기득권을 포기 하려는 의지가 약하고 지역 정치를 자신들의 영향권 아래 유지 하겠다는 욕심 때문이라는 것을 국민들은 다 안다. 정치권의 꼼수가 역풍을 맞지 않길 바란다. 박근혜대통령의 지방선거 무공천공약 반드시 이행되어야 한다.

정치는 신뢰다. 공약 이행을 헌신짝 버리듯 또 다른 괴변을 들어 미룬다면 새누리당 민주당은 국민들로부터 강한 저항에 부딪칠 것이다. 안철수 신당이 최근 새누리당과 오차 범위 내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현상들을 우습게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거창에서도 많은 출마 예상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지며 출판기념회를 준비하고 유권자들과의 접촉을 늘리며 벌써부터 조기 과열조짐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