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기상청 존치는 환영하나, 예보인력 없는 존치는 허울뿐인 존치”

작성일: 2015-01-29

기사 이미지
표주숙의원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반발

기상청의 거창기상대 존치결정과 관련 거창군의회 운영위원장 표주숙의원(새누리당•거창읍)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예보 인력 없는 존치는 허울뿐인 존치’라며 ‘예보업무 부산기상청 이관은 철회되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기상청은 지난해 경남의 4개 기상대 중 창원을 제외한 거창 진주 통영 등 3개 기상대를 폐지하고 기상관측 및 서비스 업무를 민간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 이에 표주숙의원은 지난해 12월 제206회 거창군의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거창기상대 존치운동 범군민적으로 나서야. 유치도 중요하지만 지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폐지반대 입장을 밝혔으며 거창군도 같은 입장을 기상청에 전달했다.
최근 기상청은 지역의 이러한 반대 여론 등으로 거창 진주 통영 등 3개 기상대를 폐지 대신 존치하기로 결정하는 한편, 22일부터 예보와 특보 생산업무의 집중화와 광역화를 위해 각 기상대에서 관할하던 시·군 예보업무를 부산기상청으로 통합해 실시한다는 것이다.
거창기상대의 경우 예보업무를 담당자들이 22일부터 부산기상청으로 자리를 옮겨 출근하게 되면서 기상대에는 기상대장을 비롯해 3명의 인원만 근무하게 됨으로써 야간이나 휴일 근무가 없어 위험기상에 대처 공백이 우려되고 있다.
표주숙의원은 “지역예보업무를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부산으로 이관하면서 지역 지자체와 위험기상에 대응하는 역할 등 국지 재난에 대한 즉각적인 지원이 약화되지 않을까 우려 된다”며 “지역중심의 예보가 지속적으로 제공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우리 거창의 경우, 사과 등 과수작물 재배가 많아 생업에도 기상 예보가 필수적이여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부산에서 발표하는 지방청 단위의 예보만으로는 정보량이 턱없이 부족하고 지역중심의 기상정보가 제공되지 못하면 대처가 미흡해 재난의 발생이 우려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기상대 관계자는 “기상청 조직개편으로 22일부터 업무조정에 들어가 예보업무자들은 부산기상청으로 출근한다. 예보 인력을 집중하고 예보생산단계를 간소화함으로써 신속한 방재대응체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