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조합장선거 근본적인 대안 마련 시급

작성일: 2015-02-11

지난해 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이 제정 시행됨에 따라 기존 조합별로 치러지던 조합장선거가 올해부터는 전국적으로 동시에 같은날 실시된다.농협, 축협, 수협, 산림조합장을 동시에 선출하는 전국 동시 조합장선거는 3월 11일에 실시되며 거창에서 9곳, 거창농협.동거창농협.남거창농협.수승대농협.북부농협.신원농협.거창산림조합.거창원예농협이고.거창축협은 무투표 당선이 예상되고 있다.조합장 출마자격은 위탁선거법과 해당 조합의 정관에서 결격사유가 없는 조합원이다.
후보등록은 이달 24~25일,선거운동은 2월 26일부터 3월 10일까지다.그런데 선거를 앞두고 벌써 일부 출마 후보자들이 매표 행위 등 혼탁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어 불법 타락선거로 치닫고 있는 실정이다.'조합장선거=돈선거'라는 명예롭지 못한 이름표가 붙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성숙한 조합원의식 결여가 가장 큰 문제인다. 선거 때마다 주는 사람도 받는 사람도 큰 잘못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관례처럼 익숙해져 공공연하게 돈 선거가 벌어진다. 조합장선거는 농업을 지키고 농민을 보호하는 지역의 일꾼을 뽑는다는 의미에서 볼 때 다른 공직선거 못지 않게 중요한 선거다. 거창선거관리위원회에서도 조합장선거를 공정하게 관리해 공명선거가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돈선거'를 척결하기 위해 금품 제공자에게는 법에 정한 가장 엄한 조치를 내릴 계획이다. 금품 수령자도 끝까지 추적해 과태료를 철저히 부과할 방침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고소고발 수사의뢰 건수가 벌써 130건이 넘었다고 하니 이 상태로 간다면 선거가 끝난 후 심각한 후유증이 예고 되고 있다.돈선거의 유혹에서 벗어 나지 못하는 이유는 수억원을 써도 당선 되면 더 많은 이익을 챙길 수 있다는 기대치 때문이다.억대 연봉과 그 비슷한 액수의 판공비, 예산 수십억원의 사용처를 정하고 이사진 구성과 직원 인사권까지 쥐게 되는 요즘 말로하면 수퍼 갑 중의 갑이 된다.또한 조합의 경영, 인사, 채용 권한까지 갖게 되면 심지어 직원 채용 대가로 금품을 받고 전별금 명목으로 돈을 챙긴 사례도 있다고 한다.반면 조합장에 대한 감사는 허술하기 짝이 없다. 2년에 한번 이뤄지는 중앙회의 감사 외엔 기관감사를 받지 않는 감시의 사각지대다. 이러니 조합경영이 제대로 될 리가 없다.거창은 “ㅅ“ 농협의 경우 2008년 모건설사 부도로 10억원을 상실 처리 하며 후임 조합장이 조합 정상화에 애를 먹었다. 이제는 구조적인 개혁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당선되고 나면 핵심 선거참모를 이사진으로 앉혀 이권을 나눠주고 유력 조합원에게는 각종 혜택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자리를 보전하고 규모가 큰 조합은 갖가지 방법으로 본전을 챙기기 바쁘다는 것이 해묵은 이야기들이다..조합장 출마자 조합원 모두 돈선거의 유혹에서 벗어 나지 못하고 금권선거를 방임 조장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일부에서는 조합규모에 따라 5당4락(5억원 쓰면 당선 4억원 쓰면 낙선),나돌 정도다.조합장선거 대수술이 필요하다.조합장선거의 혼탁을 막기 위해서는 기존의 합동연설회를 부활시켜 조합원이 모여 후보자의 소견.비젼.도덕성.정책들을 검증 하고 발표를 듣도록 해야 하며 조합원 소양교육도 시급한 실정이다.조합장은 지역국회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과 다르다. 조합장은 기업 CEO의 자질을 갖춰야 한다.
조합장의 비상임화로 소유와 경영을 분리해 경영은 책임있는 전문 경영인에게 맡기는 대안을 모색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