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 지속가능한 맞춤형 마을을 만든다.
작성일: 2015-04-29
민․관․전문가 협업 시스템 구축, 5+3대 전략 추진
거창군은 민․관․전문가가 협업하는 마을만들기 시스템으로 마을의 자원과 수요에 맞춘 주민 주도의 ‘지속가능한 맞춤형 마을만들기’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거창군은 민선5기 시작과 함께 농촌의 현안사항인 인구감소, 고령화, 농가소득 감소 등 농촌문제에 적극대응하기 위해 민․관 협업체계 구축, 교육을 통한 참여주체 역량강화, 민간네트워크 구축 등 3대 전략사업과 로컬 푸드, 도농교류, 귀농귀촌, 마을개발, 문화․복지 공동체 등 5대 분야별로 다양한 형태의 마을만들기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마을만들기과를 신설하고 마스트플랜 수립과 조례 제정 등 정책, 제도적 시스템을 마련했으며, 그 후 정책자문단 운영, 마을만들기 위원회 운영, 중간지원센터 설립 추진, 소식지 발행 등 민․관 협치 거버넌스를 구축해 나가고 인적인프라 육성과 역량강화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마을만들기 주요사례는 공동생산 공동판매를 위한 맞춤형 마을기업 육성 13개소, 건강장수마을 10개소, 녹색농촌체험마을 12개소 등이 있으며, 제1회 행복마을 콘테스트 문화․복지 분야 장관상과 지역공동체 활성화 발표대회 장려상을 수상했다.
군은 올해 주민 역량강화를 위한 거창한마을대학을 지난 2월 개설하여 마을 리더 38명을 양성했으며, 매력 있는 마을 15개 마을을 선정 소규모사업 지원으로 마을만들기 역량과 스스로 할 수 있는 경험을 축적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매력 있는 마을가꾸기 사업을 추진한 마을을 대상으로 10~15백만 원의 시범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며, 경남에서 가장 많은 8개 마을에 색깔 있는 마을 농촌현장 포럼을 선정하여 마을발전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등 교육과 사업을 통해 주민역량을 성장시켜서 마을기업 육성지원과 국․도비 공모사업에 적극 대응해 나가고 있다.
특히 주민과 행정기관의 협력과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마을사업계획 수립 지원과 컨설팅, 마을만들기 전문 인력양성 등을 담당하는 중간지원센터를 공론화 절차를 걸쳐 연말까지 설립할 계획으로 있다.
이를 위해 군에서는 지난해부터 학계와 전문가, 민간 활동가로 구성된 정책자문단을 구성해 설립방안과 절차에 대해 매월 회의를 통해 협의하고 있으며, 5월부터 찾아가는 설명회를 시작으로 6월 공론화 포럼을 통한 공감대 형성과 주민의견 수렴, 7월부터 11월까지 지원센터 방향설정 포럼과 교육을 거쳐 자체적으로 지원센터 운영능력을 갖추어 나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거창군은 군민이 주도하고 행정과 전문가가 지원하는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주민이 설계하는 맞춤형 마을 만들기로 공동체 활성화와 소득이 보장되는 지속가능한 생산적 복지농촌을 만들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