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인조잔디 기준치 초과 유해물질 검출

작성일: 2015-05-21

초·중·고 학생들은 세계 다른 어떤 나라 학생들보다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낸다. 학교가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위험하다면 심각하다. 문제는 인조잔디만이 아니다. 환경부가 전국적으로 실시한 라돈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661개 학교 중 27%인 177개 학교에서 100베크렐 이상의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왔다. 라돈은 토양이나 암석, 물에서 라듐이 핵분열할 때 나오는 가스로 고농도에 노출되면 폐암이나 신장 독성을 유발한다.

녹색당이 경상남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경남 지역 유해 기준치 초과 인조잔디 학교 명단‘에 따르면 도내 20개 학교 중 거창지역에는 유일하게 창동초등학교가 포함되어 있다. 녹색당이 공개한 이 자료는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지난해 11월 검사한 결과다.

학교는 사실을 인정했다. 창동초등학교 관계자는 “인조 잔디를 걷어내고 마사토 운동장으로 바꾸기 위해 경상남도교육청에 요청을 해 놓은 상태 “라며 “상반기 중 교체할 계획 “이라고 했다.

2006년부터 국민체육진흥공단, 교육청, 지방자치단체들이 예산을 투입해 학교에 인조잔디를 깔기 시작했다. 보기에 좋고, 관리가 효율적이라는 이유였고, 관련 업체는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지난해 국민체육진흥공단이 학교 인조잔디의 유해성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충격적이다.

조사 대상 1037개교 중 941개 학교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고 174개 학교에서는 납, 6가크롬 등 인체유해물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납이 기준치의 87배나 검출된 학교도 있고, 환경호르몬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 합계가 기준치의 348배가 넘은 곳도 있었다.

교육청이나 학교에서는 “기준치 이내면 괜찮다”, “새것으로 재설치하면 된다”며 인조잔디 개보수와 교체 방침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기준치에 미달됐더라도 검출된 만큼 유해하다. 유해물질의 ‘허용 기준치’는 안전하다와 위험하다를 판단하는 기준이 아니라 관리기준이다. 인체에 유해하다면 안 쓰면 된다. 천연잔디나 마사토로 교체하면 되는데 또 예산 탓을 하고 있다.

교육부와 일부 교육청은 인조잔디의 오염사실을 알고도 정보조차 공개하지 않았다. 대처 자체가 미온적인게 문제다. 그리고 ‘학교 환경시설 개선예산’은 항상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는 현실이다.

‘안전’보다 ‘돈’을 추구하는 사회적 구조도 문제다. ‘돈’ 때문에 학교 안의 안전과 학생들의 건강조차 지키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돈’이 최고인 사회에서 학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학생들의 안전대책 수립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하며 ‘돈’타령 하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났다. 학생들에게 투표권이 있었다면 이대로 방치 되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