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론>교통질서

작성일: 2004-12-06

동절기 들어 추운 날씨 탓인가 뺑소니 음주운전 등 대형교통사고 늘고 있다. 교통질서라 하면 사람이나 차가 통행하는데 마땅히 지켜야 하는 질서이다. 유아원에서부터 사람은 좌측 차는 우측, 건널목에서는 신호등에 황색 등이 켜지면 준비, 녹색 등은 건너고. 빨간 등은 정지. 손을 들고 주위를 살피며 건너는 도로 보행 법부터 가르친다. 교통신호를 잘 보고, 교통순경의 수신호를 잘 따르고, 안전표지판을 잘 읽어 지시대로 잘 따르기만 하면 되는 극히 쉬워서 어린이, 어른, 자동차까지 잘만 지키면 교통혼잡, 교통차단, 교통지옥이라는 단어가 필요 없게 될 것 같다. 교통질서가 바로 서면 공공의 안녕 질서, 사회질서 또한 저절로 이룩된다고 보기에 교통질서에 역점을 두어 당국은 총력을 경주해야한다. 필자 국도 37호선(거창~문산)간 마리 소곡태평양 주유소에서 송정리 거창 관광호텔 간 약1K정도의 동일구간에서 15회 정도 이동카메라에 찍힌 적이 있다.
위반속도가 거의 1~10k 미만의 경미한 과실이나 상습범임엔 틀림없다. 이 속도는 구미의 계기오차범위속도이자 필자의 양심속도이기에 개의치 않았으나 범칙금이 무서워 3개월 간을 가속 페달을 밟지 않는 주행 연습을 하여 마스터했다.
말인즉슨, 37호선 국도가 선진국 뉴질랜드 고속도로와 비교하여 노면상태가 더 좋고 자동차 또한 초일류로 만드는 나라가 우리나라이다. 길 좋고 차 좋으니 주행 중 발을 들어도 규정속도인 60k가 넘게나온다. 이런 실정을 외면하고 비포장 외길 차선 때의 속도를 고수하려는 것은 사실상 언어도단으로써 정부의 청맹과니(靑盲)인 교통행정을 책해야겠다.
‘놀부가 제비 생 다리 부러트려서는 고쳐주고 복 달라고 억지쓰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정부 또한 세원이 없어 자동차에나 우려먹는 피치 못할 고충도 이해한다. 그러나 실정에 맞지 않는 규정속도로 선량한 국민이 위반상습범이 되게 해서도, 교통질서를 흐리게 해서도 안 된다. 진작에 속도 상향 조절을 해 주었어야 했다. 또 도로교통법에 회 전시는70m전방에서 신호를 넣는 것이 국제적인 약속이다.
회전 시 미리 신호를 넣어주어 뒤차로 하여금 진행방향을 알려주어 갈 길을 정하게하는 지극히 당연한 배려인 것이다.
이를 아예 무시하거나 돌아가기 직전에 깜박이 넣어 차간 간격이 좁아 교통사고가 빈번했고, 이와 같은 교통사고가 꼬리를 물고 발생하고 있어 집중교육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교통질서 지키기는 누구나 마음먹기에 달린 쉽다면 쉬운 일로서 실천의지에 달렸다고 확신한다. 실행해보지도 않고 엽전은 안 돼 식으로 비하하지 말 것이며 사람은 보행에, 차는 경고 지시 등 잘 켜는 것만 잘해도 분명 희망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