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신의 동서양 故事 풀이 (9)
작성일: 2016-01-20
불효부모사후회(不孝父母死後悔)라
(풀이) 朱子 구어로 불효자의 통한을 피력한 말!
까마귀를 인자한 새 자조(慈鳥)라 함은 어미가 병이들면 새끼들이 먹이를 물고와 보살펴 준다고 오유반포지효(烏有反哺之孝)라고도 한다.
하물며 인간이 불효해서야 되냐. 父兮生兒라, 아버님은 날 낳으시고 母兮育兒라 어머님은 날 길러주시니 乳哺養育恩, 젖을 먹여주시고 撫育之恩 손으로 어루만져 주시며, 지독지애(舐犢之愛)라 송아지 처럼 핧타 주시며 금지옥엽으로 키워 주신 그은혜 호천망극(昊天罔極)하야 끼니때마다 每飯不忘하고 날이면 날마다 孝子愛日하며 孝子不匱라! 효는 궤(匱)짝처럼 일정한게 아니라서 孝子終身 慕父母하니라.
신중신의 동서양 故事 풀이
위자사효爲子死孝
위신사충爲臣死忠
열부위사열烈婦爲死烈
(풀이) 자식은 효에죽고
신하는 충에 죽으며
열녀는 열에 죽는다 했도다.